푸른 이상향의 이미지 - 오토매티즘과 모노크롬 회화의 절충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더불어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추상 표현주의의 대표적인 평론가인 그린버그(Clement Creenberg, 1960-94)는 ‘모더니스트 회화(Modernist Painting. 1960)’라는 글에서 “평면성(flatness)만이 모더니즘 회화에 유일하고도 배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평면성 혹은 2차원성은 회화가 다른 어떤 미술과도 공유할 수 없는 조건이기에 모더니즘 회화는 평면성에 기원을 두는 것이다”라고 모더니즘 회화의 대표적인 특성을 평면성으로 규정한 바 있다.
‘현대 회화가 평면성으로 회귀하고자 한다‘는 것은 회화의 역사적인 측변에서나 아니면 그 본질에 있어서도 일대 반란이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르네상스 시대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가 창안한 공기원근법, 화면에서 그로 인한 환영(幻影,illusion)과 눈속임(Trompe I'oeil) 기법의 지속적인 사용이 이끌어온 기나긴 미술사를 송두리째 뒤엎는 주장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평면성’이 이 서경자 회화작품의 특성 중 하나로 나타난다. 그녀는 아크릴 물감을 사용한다. 그것은 수채화 물감처럼 물에 개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감성의 표출에 적합한 재료이다. 그것은 또한 추상 표현주의의 특성 중 하나인 ‘평면성’의 실현에도 적합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것은 필경 작가의 내면세계의 자연스러운 발현을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재료의 물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효과도 거두고 있다.
서경자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방식은 명상에 기인한다. 요즈음에 제작하고 있는 <명상> 시리즈는 그러한 단면을 읽게 해준다. 그녀는 작품을 매우 빠르게 제작한다. 동양의 선(禪)에 매료되었던 현대 도예작가인 볼커스(Peter Voulkos, 1924-2002)는 제자들과 더불어 그릇을 2분 안에 만드는 훈련을 거듭한 적이 있다.
그 과젱에서 그는 무념의 경지를 체험했다고 한다. 그는 어떤 형태를 만들고 싶다든디, 어떤 유약을 칠하고 싶다든지 등 일반적으로 작가가 작품제작에서 가지는 생각들을 떨쳐버렸던 것이다. 그는 오로지 만든다는 행위 그 자체에만 만족하고 자신의 마음과 손을 내맡긴 것이다.
그 과젱에서 그는 무념의 경지를 체험했다고 한다. 그는 어떤 형태를 만들고 싶다든디, 어떤 유약을 칠하고 싶다든지 등 일반적으로 작가가 작품제작에서 가지는 생각들을 떨쳐버렸던 것이다. 그는 오로지 만든다는 행위 그 자체에만 만족하고 자신의 마음과 손을 내맡긴 것이다.
이번 <명상> 시리즈의 사물들은 화면 속에 산만하게 흩어져 있으며, 화면의 상부 형태가 차지하는 공간이 하부의 것보다 크게 되어 있음은 역원근법과 같은 도치법의 일종이다. 회색빛 바탕의 상부 공간을 차지하는 푸른색의 나무줄기가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지배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나선형의 드로잉 위에 채색된 초록색이 무념의 상태에서 이루어진 흔적으로 남아 있으며, 세필로 그어놓은 수직선과 수평선이 잔잔한 바다 위의 잔물결처럼 출렁이고 있다. 그녀 작품의 전체적인 색상이 모노크롬적인 경향으로 바뀌고 있음도 매우 인상적이다.
이전의 작품들에서 보여줬던 사물들은 그 형상에서 매우 구체성을 띠고 있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경향이 차츰 사라지고 있다. 그녀의 모노크롬 경향은 청색을 지향한다.
마치 어린이의 마음의 고향이 푸른 나라인 것처럼 말이다. 푸른색은 이상향의 대명사이다. 굵고 곧은 나무줄기의 모습처럼 이상향에 대한 그녀의 동경은 매우 솔직하고 강렬하다.
마치 어린이의 마음의 고향이 푸른 나라인 것처럼 말이다. 푸른색은 이상향의 대명사이다. 굵고 곧은 나무줄기의 모습처럼 이상향에 대한 그녀의 동경은 매우 솔직하고 강렬하다.
나무줄기의 은은한 음영을 드러내기 위하여 붓끝으로 진한 청색을 찍듯이 줄기의 변을 따라 터치들을 나열해 놓고 있지만, 그것은 원근법과는 무관한 것처럼 보인다. 오히려 그것은 청색을 통한 이상향이라는 이미지의 부각을 위한 방편일 것이다.
그녀의 의식세계 저편의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서 무채색인 회색으로 점철된 작품의 배경은 매우 광활하다.
그 일부 공간에 횡으로 난 간헐적인 선묘(線描)에서 그녀의 잔잔한 의식의 흐름을 읽게 되지만, 그것이 그녀의 무의식이나 잠재의식을 결코 흔들어 놓지는 못한다.
사물들의 윤곽선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다. 말하자면 나뭇가지의 윤곽선은 매우 정선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사물들의 윤곽선은 거칠기도 하고 둔탁하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는 필자로 하여금 일본 작가들이 선(禪)을 예술에 적용시킬 때 언급하는 ‘사비’를 연상하게 만든다. 무념의 상태에서 그어대는 선이나 형태는 그것이 반드시 자연스러움만을 유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정교함과 서투름, 예리함과 둔탁함이 적절하게 공존하는 것이 바로 ‘사비’의 세계이다. 서경자의 사물에 나타난 형태들의 윤곽선을 그러한 관점과 관련지어 논하는 것이 매우 타당하다는 것이다.
그 일부 공간에 횡으로 난 간헐적인 선묘(線描)에서 그녀의 잔잔한 의식의 흐름을 읽게 되지만, 그것이 그녀의 무의식이나 잠재의식을 결코 흔들어 놓지는 못한다.
사물들의 윤곽선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다. 말하자면 나뭇가지의 윤곽선은 매우 정선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사물들의 윤곽선은 거칠기도 하고 둔탁하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는 필자로 하여금 일본 작가들이 선(禪)을 예술에 적용시킬 때 언급하는 ‘사비’를 연상하게 만든다. 무념의 상태에서 그어대는 선이나 형태는 그것이 반드시 자연스러움만을 유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정교함과 서투름, 예리함과 둔탁함이 적절하게 공존하는 것이 바로 ‘사비’의 세계이다. 서경자의 사물에 나타난 형태들의 윤곽선을 그러한 관점과 관련지어 논하는 것이 매우 타당하다는 것이다.
서경자의 회화세계는 매우 특이하다. 그녀의 회화작품에서 간헐적으로 판화기법이 등장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그녀는 판화이든지 회화이든지 간에 자신 심상의 표출에 중점을 두어왔는데, 위와 같은 표현방식들이 추상 표현주의의 그것들과 매우 깊은 연관을 갖고 있음은 주목할만한 점이다. 액션 페인팅 기법을 소화해낸 작품을 선보이는가 하면, 어느 덧 오토매티즘에 매료되어 있기도 한다. 이번에는 그녀가 모노크롬 기법과 오토매티즘 기법의 절충형을 선보인 것은 그녀 회화의 또 다른 특징이다.
2005년 8월
최병길 (철학박사, 원광대학교 교수)
An Image Of A Blue Ideal Land
A Compromise Between Automatism And Monochrome Painting
A Compromise Between Automatism And Monochrome Painting
With the end of the 2nd World War, Clement Greenberg(1909-94), a representative art critic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that has been developed around New York, USA, once has declared that a key property of modernist painting is flatness, as illustrated in his essay 'Modernist Painting, 1960', "Flatness alone was unique and exclusive to Modernist painting. Flatness, twodimensionality, was the only condition painting shared with no other art, and so Modernist painting oriented itself to flatness as it did to nothing else."
What 'modern painting wishes to return to flatness' cannot but be a mere revolt from the standpoint of painting's history or essence. For it is a remark that extremely destroys a long history of art having begun with the aerial perspective created by Leonardo da Vinci(1452-1519) in the Renaissance, and having led to the persistent use of illusion and trompe l'oeil technique in the screen.
Such a "flatness" appears as a character of Suh Kyoung-Ja's paintings. She uses the acrylic paints. They can be used with water like the watercolor paints, which is a proper material for the representation of various sentiment. It is also seen as having an adequate property for the actualization of 'flatnes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It eventually has made possible for both a natural representation of artist's inner world and a positive revelation of the material's physicality.
The way that Suh Kyoung-Ja loos inside her inner world is based upon meditation. series having been produced in recent times make us read such an aspect. She makes her artworks very quickly. Having been fascinated with Oriental Zen, Peter Voulkos(1924-2002), a modern ceramic artist, once has trained himself and his students persistently to make a vessel within two minutes. It is known that he, through that process, has experienced a world free from all thoughts. He has shaken off the ideas generally cherished by the artists who wish to make which forms or paint which glazes. He only has left his mind and hands in his action of making.
The objects in series of this time are widely scattered on the canvas, and the space that forms the upper part occupy is wider than that of the lower part is a kind of inversion like a reverse perspective. The blue-colored tree's trunk occupying the upper space of the greyish background dominates the whole atmosphere of the work. Furthermore, the green color painted on the drawing of a spiral is remained as a trace that is performed in the state of empty mind,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with minute strokes are swaying as small waves of the quiet sea.
It is very impressive that the whole hue of her work is changing into the mono-chromatic trend. The objects appeared in the previous works were very figurative in their shapes, but now such a trend is gradually disappearing. Her mono-chromatic trend intend to blue color. As if a child's heartfelt homeland is a blue world. The color is the representative of an ideal land. Like the shape of a tree's thick and straight trunk, her yearning for an ideal land is so frank and strong. Although she displays dark blue colors with the brush-tip strokes along the trunk's sides in order to express the dim shadow of a tree's trunk, which seems to be irrelevant to the perspective. Rather it would be a means for embossing the image of an ideal land through blue colors.
Expressed the appearance of that side beyond her conscious world, the work's background dominated by the grey color, an achromatic color, is very wide. Even though we come to read the tranquil stream of her consciousness from the infrequent linear drawings depicted horizontally in its partial space, which never sways her un- or sub-consciousness. There is also a change in the outlines of other object. That is the outline of a tree's trunk is very refined, whereas the outline of other objects is rough as well as dull. This change makes me associate with 'sabi' that is remarked by the Japanese artists when they apply Zen to art. Lines or forms depicted in the state of an empty mind, which must not maintain only the naturalness. A proper coexistence of both elaborateness and unskill, sharpness and dullness, which is the world of very 'sabi'. I see it adequate to mention the outline of those object's forms depicted by her from that point of view.
The world of Suh Kyoung-Ja's painting is very unique. In the paintings by her begun as a printing artist, it would be a natural phenomenon to look at the printing techniques intermittently. She has pointed to represent her own inner images without regard to whether it were a printing or a painting, it is a noteworthy thing that the above expression methods are very deeply connected with those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Sometimes there is a work that has digested the technique of the Action painting, and sometimes there is a work that has been deeply fascinated by automatism. But now what she has displayed a compromising style of mono-chrome and automatism techniques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her paintings.
August 2005
CHOI, Byung-Kil
(Ph. D. Professor of Wonkwang Univ.)
CHOI, Byung-Kil
(Ph. D. Professor of Wonkwang Univ.)
서경자
1978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0000 동대학원 판화과 졸업
2005 제2회 중국베이징비엔날레 (北京)
2008 제3회 중국베이징비엔날레 (北京올림픽 초대작가)
[개인전)
개인전 (Carrousel De Louvre, Paris, France)
개인전 (홍익대학교 미술관)
개인전 (선화랑 초대전)
개인전 (Calerie EVERARTS Paris, France)
개인전 (성남아트센터)
개인전 (9 아트 스페이스-중국, 베이징 798,초대전)
개인전 (GALLERY KOWA. 도쿄, 일본,초대전)
상해문화원 초대전시 (중국상해문화원)
개인전 (Able Fine Art NY Gallery 초대전,뉴욕)
개인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1관)
개인전 (갤러리 팔레드서울 초대전) 등 23회
[아트페어]
SIPA 판화 미술제 (예술의전당,한가람미술관)
살롱 Societe De le National des Beaux Arts
0000 (Carrousel De Louvre, Paris, France)
상해 아트페어
마니프 국제아트페어 (예술의전당,한가람미술관)
상해국제 아트페스티벌(상해 라이프스타일센터 컨템포러리 아트뮤지엄)
대구아트페어 2010 (대구전시컨벤션센터 EXCO)
뉴욕 아트엑스포(뉴욕) 등 그룹전 300여회뉴욕
작품소장
북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아트뱅크)
중국상해문화원
현 : 한국미술협회, 한국전업미술가협회, 홍익여성화가협회, 한국크로키회원, 세계미술교류협회, 홍익판화가협회, 여류화가협회.프랑스 SNBA 정회원
kyoung ja,Suh
B.F.A in Western Painting, Hongik University
M.F.A in Engraving, Hongik University
2005 The 2nd Beijing International Art Biennale 2005 (China)
2008 The 3rd Beijing International Art Biennale 2008 (China)
[Solo Exhibitions]
Solo Exhibition (Carrousel De Louvre, Paris, France)
Solo Exhibition (Museum of Hongik University)
Solo Invitational Exhibition (Gallery sun)
Solo Exhibition (Calerie EVERARTS Paris, France)
Solo Exhibition (Sung-Nam Art Center)
Solo Invitational Exhibition (9-Art Space, Beijing 798, China)
Solo Invitational Exhibition (KOWA Gallery,Tokyo,Japan)
Solo Invitational Exhibition (Shanghai, China Council)
Solo Invitational Exhibition (Gallery Palais de Seoul)
Solo Invitational Exhibition (Able Fine Art NY Gallery, New York)
Solo Exhibition (Seoul Art Center) Over (22 Exhibitions)
[Art Fair]
SIPA, Seoul International Print Photo & Edition works Art Fair (Seoul Arts Center)
Salon Societe de la National des Beaux Arts (Carrousel De Louvre, Paris)
Shanghai Art Fair
MANIF Seoul-International Art Fair (Seoul Art Center)
China Shanghai International Art Fair (Life Style Centre Contemporary Art Museum)
Daegu Art Fair 2010 (Daegu, EXCO)
NEW YORK ART EXPO (Pier 94 on the Hudson River, New York. Over (300 Exhibitions)
김재연 cultureocea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