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이 인간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진 바와 같이 학생들에게 있어서 학교 환경은 배움의 장소로써 물리적으로 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많은 관계가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 또한 환경은 학생의 주변을 둘러싼 모든 요소들의 총체로서, 발달과 성장에 큰 영향을 주고 생활공간의 역동적인 장 속에서 인간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교육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교육 환경의 구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과거의 우리 학교 교육환경은 양적이고 물질적인 측면만을 강조한 나머지 학생들의 정서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무계획적으로 이루어 졌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라는 공간 특수성과 시간적 연계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시각에서 주변 환경을 바라보는 미적 안목과 정서적인 순화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이와 같은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다양한 미술 표현법과 재료의 탐색을 통해 교육자로서의 전문성과 실무능력 배양으로 교육력이 향상되고 이런 개발을 통해 확산적인 열린 사고를 함양하는 일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s many scholars studied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ical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ies, formal school setting as a learning environment affects students' learning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Since learning environment is the collective sum of diverse factors surrounding students, it highly affects development and growth of students. As learning takes place when learners actively interact with their surroundings,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structured in corporate with educational purposes. However, current school environment only addresses students?? needs with the quantitative manner; therefore, it fails to reflect students?? emotional needs. Reflect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design a training program for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practices of the Site-Specific Art. The training program would bring creative changes in school environment. In the first chapter,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environment were justified, and what constituted school environment was foll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nvironment and students' creativity was also suggested. In the second chapter, current pictures of school environment were examined and their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 the third chapter, the specific design of the training program was introduced. The design addressed the issues of natural environment, play, personality, and multi-cultures. Through this exemplary program, this study aims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unique characteristics of school environment, and its power of manipulating students' aesthetic and emotional senses. This study also aims to generate more studies about school environment with the concept of the Site-Specific Art and ways of training professionals.
* 학교환경의 개념과 구성요인
미술이 환경 또는 특정 공간과 건축에 적용되는 환경 중심의 예술적 기능이 강조되는 회화를 환경회화라고 한다. 현재 우리 사회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환경회화(Site-Specific Art) 작가들의 활약상은 널리 형성되고 있는 시점이다. 또한 이 분야는 회화에서부터 건축, 거리예술에 이르기까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학교환경에서 아동들에게 예술적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환경회화(Site-Specific Art)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조성 즉 아동들이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는 물리적 환경을 통해 아동들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으로 발달이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교육의 한 부분으로서 환경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아동들이 교실을 통해 좋은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실 환경은 아동의 학습과정과 생활을 그대로 담아내도록 하며 학습활동에 활용성을 중심으로 수정?보완하거나 변경시켜나가고 자유롭게 구성하되, 반드시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사와 아동이 함께 하는 교실환경이 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환경회화(Site-Specific Art)의 등장 배경과 개념을 살펴보고, 다양한 표현재료와 매체를 개발하고 활용하여 학교환경미술의 표현을 확대시키고 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주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우리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환경에 적용되어 학생들의 건강과 정서, 사회적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미적 안목을 형성하며 미적 체험을 통해 직접 작품 제작에 까지 참여하게 하여 자신의 주변 환경 특히 학교 환경에 관심을 가지며 이러한 활동이 예술교육의 일환이 되도록 한다.
* 학교환경의 역할과 중요성
학교 환경에서 교실은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하는 가운데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이며, 학교 교육이 직접 이루어지는 곳이다. 학생들에게 있어 교실은 ‘학습의 장(場)’인 동시에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정의적 영역의 장’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영향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학급이나 교실은 교사와 학생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을 분담하고 상호관계를 유지해나가는 소집단으로서 학습이 직접 이루어지는 중요한 사회 조직의 한 단위이다. 결국 교실이 가지는 개념이나 성격은 근본적으로 교사와 학습자의 목적 지향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집단인 동시에 인간관계 지향적인 심리집단이라고 본다.
아마빌레( Amabile)는 교실의 사회적 분위기의 중요성에 대해 교실의 사회적 분위기는 아동이 호흡하는 공기처럼 중요하며, 아동이 갖는 집단 성원간의 관계는 아동의 심리적 안정과 불안감을 갖게 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며, 생활공간의 역동적인 장 속에서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생기는 것이다1)라고 했으며 창의적 사고와 태도를 함양하는 것은 환경이며 이 동기는 창의성의 중요한 요소임을 주장하였다.
교실에서 학생은 환경의 통제를 받고 적응하면서 활동을 하는데, 이러한 과정들은 학생들의 성격 및 행동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교실 내의 분위기는 매우 중요하다
* 환경과 학생의 창의성과의 관계
창의성은 모든 인간이 가지는 보편적인 것으로 환경과 많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회적인 상황에 따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은 필연적이다. 창의성 연구자 가운데 토렌스(Torranc)는 창의성과 관련된 세 요인을 말하기를, 첫째, 지적요인으로 기억, 인지, 평가, 수렴적 사고, 확산적 사고가 그것이며, 둘째 동기적 요인으로 용기, 일에 대한 헌신, 풍부한 전략, 일반적인 문제에 대한 열정, 현상을 질서 있게 정리하기, 무엇을 발견해 내려는 열망 등을 들고 있다. 셋째는 인성요인으로서 독립심, 자부심, 인내심, 직업에 대해 가지는 자신감 등을 들고 있다2). 그는 이 중에서도 창의성에 가장 관련된 것을 인성요인으로 보았다.
또한 송수경에 따르면,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환경은 첫째, 창의적 사고를 유발하는 자극으로써 물리적·사회적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창의성의 중요한 인지적 능력을 유발시키며, 둘째 스스로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창의적 인성을 길러주는 분위기로서의 기능을 한다3)고 했다.
이처럼 창의성을 일깨우는 환경은 곧 학생들이 창의적인 사고와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환경이며, 동기는 곧 창의성의 요소이고, 동기를 부여하는 환경은 곧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의 창의성은 심리적으로 위협받지 않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만 증진되어 질 수 있고 아동이 느끼기에 안전하며, 자기 확신과 신뢰와 평온함을 가질 수 있는 환경 속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창의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는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특별히 교사와 학생간의 친밀감은 학습에 도움을 주며, 사고를 촉진시키는 심리적 환경이 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학교에서의 자율적인 환경요인이 아동의 창의성 발달과 연관성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수법, 교사의 특성, 창의성 프로그램에 관련된 물리적·사회적 환경들이 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 등이 연구되어야 한다.
다음과 같이 학교환경에서는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율성과 주도권을 줄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의 아이디어와 생각을 수용하여 자유롭게 지도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스스로 구성력을 가지고 미술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호매체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정서, 경험, 흥미에 따른 반응을 고려하여 유동적 수업이 가능해야 하며 교수 전략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넷째, 주제나 재료 선택은 학생이 중심이 되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주도적인 사고로 발전 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과 또래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타인의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수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의 아이디어에 타당성을 제시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여섯째,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사려 깊고 개방적인 질문과 어린이 상호간의 토의를 장려함으로써 어린이들의 탐구심을 신장시키도록 한다.
일곱째, 어린이들이 미술활동을 통해서 유발되는 경험에 근거하여 감성과 비평적 사고를 양성해야 한다.
여덟째, 환경구성을 통해서 재조직, 재구성함으로써 호기심과 확산적 사고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 다양한 작품의 학교환경 적용사례
제목: 세계를 품은 씨앗
이 작품은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학생의 작품이며 제목은 ‘세계를 품은 씨앗’이다. 지도교사는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김태우, 이상복교사이다.
작업의 내용은 데이비드 걸스타인의 모멘톰은 모태로 하여 전교생 718명이 각자의 꿈(미래의 희망이 될 직업을 기반으로)을 입체로 표현하였음. 가운데 기둥은 PET 병을 이용하여 기둥을 세웠고, 그 안에는 LED 전구를 사용하여 스위치를 누르면 빛이 나오게 됨. 높이는 2M 정도가 되면 아래부터 1학년, 2학년... 꼭대기에 6학년이 됨.
작품의 재료는 자유롭게 하였고, 기본으로 크기를 정할 수 있는 도화지를 제공하였고, 완성 후에는 학년별로 명찰을 달았고, 뒷면에는 우드락을 붙여 견고함을 유지함.
그밖에 학교환경의 작업들을 수록함.
?
각주)-----------------
T.M, Amabile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Westview Press, 1996 .p. 21.
E..P, Torrance,.Insights about creativity : questioned, rejected, ridiculed,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1995.
송수경. 초등학교 교실 벽면구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p.9.
각주)-----------------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