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November 20, 2012

이윤정 Lee yunjung




이윤정의 회화


뽑기의 추억

고충환(Kho, Chung-Hwan 미술평론)


인사동 언저리에 가면 뽑기 장사 아저씨가 있다. 손바닥만 한 좌판에 딸려있는 연탄불을 배경으로 한 것이나, 쪽자(국자)에 설탕을 녹인 다음 소다를 넣어 부풀린 설탕과자를 납작하게 눌려 철형으로 문양을 새겨 넣는 방식이 옛날 그대로이다. 민속촌에나 어울릴 법한 풍경이 명목으로만 전통거리인 서울 시내 한 복판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고 의외다 싶기도 하다. 알다시피 혹은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그곳은 전통적이지도 민속적이지도 않다. 구경거리를 위해 조성된 거리도 아니고(행정당국에 의해 특화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더욱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놀이공원도 아니다. 실제로 뽑기 장사 주변에는 아이들보다는 어른들이, 이를테면 연인들이나 이따금씩 이방인들이 더 많이 기웃거린다. 구경하기 위해선 좌판이 낮아 허리를 수그려야 하고, 실제로 놀이에 참여할라 치면 아예 길바닥에 쭈그려 앉는, 조금은 불편한 자세를 감수해야 한다.
그 풍경은 불현듯 시계가 거꾸로 되돌려지는 기묘한 풍경이었다. 마치 그때 그 시절을 아시나요 라는 TV 프로가 길거리로 나온 것 같은, 아님 아예 TV 세트장을 옮겨 놓은 것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켰다. 그곳으로부터 과거가 스멀스멀 배어나오는 현실의 틈새 같았다. 그 풍경은 말하자면 아이들이 아닌, 어른들을 위한 풍경이었다. 어른들이 한때 어린아이였을 시절을 현재 위로 되불러오는 풍경이었다. 마술 같은 풍경이었다. 현실의 틈새를 찢고 일상 위로 출몰한 비현실적이고 비일상적인 모든 것은 마술이다. 지금의 어른들은 이런 마술을 프루스트현상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프루스트현상? 오감을 자극하는 어떤 경험이 과거 속 회상이나 추억 따위를 불러일으키는 현상이다. 주지하다시피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모더니즘 소설의 효시로 알려져 있고, 소설 속 주인공이 홍차에 적신 마들렌 과자에서 나는 향을 매개로 과거 속 유년시절을 회상한다는 상황논리에 착안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뽑기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에 해당하며, 현재를 과거 속으로 밀어 넣는 혹은 과거를 현재 위로 되불러오는 마술적 경험의 계기 역할을 한다. 이윤정이 뽑기에 주목하는 이유이며 이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것이기도 하다. 지금의 어른들은 옛날에 어린아이였다. 그 아이들은 꿈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어른이 된다는 것은 어쩌면 현실원칙에 맞닥트려 그 꿈들을 포기하고 그 꿈들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과정일지도 모른다. 상실한 것들, 망실된 것들, 잊힌 것들, 희미하고 흐릿해진 것들, 돌이킬 수 없는 것들이 아련한 그리고 때론 가슴 저미는 그리움으로 남아 그 그리움의 흔적을 몸으로, 기억으로, 그리고 더러는 무의식으로 체현하고 있는 것이 어른들일지도 모른다. 작가는 그 어른들로 하여금 그들의 꿈이 아직 포기되고 망실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주고 싶다. 순진무구했던 꿈의 현장과 대면하게 해주고 싶다. 그럼으로써 무미건조한 현재에 위안이 되고 싶고, 어쩌면 상처투성이의 현재를 위로해주고 싶다. 당연히 어른이 되기 위해 접었을 자신의 꿈에 대해서도. 그리고 그렇게 망실되고 잊힌 것들을 현실 위로 되불러오는 마술을 부리고 싶다.

그렇다면 작가는 어떻게 과거를 현재로 호출하는가. 당연히 뽑기다. 프루스트에게서 마들렌 과자의 향에 해당하는 것이 뽑기다. 뽑기에서 가장 전형적인 도구, 말하자면 한눈에 뽑기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기호로는 각종 다양한 모양새를 가능하게 해주는 철형일 것이다. 작가는 이 철형들을 그림으로 그리기도 하고, 그림 위에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 철판을 구부려 만든 철형을 부착해 밑그림과 어우러지게 한다. 그렇게 조형한 결과는 양식화와 패턴화 그리고 평면화의 경향성이 강해 보인다. 그 경향 자체는 작가의 회화적 감수성에 따른 것이겠지만, 다소간 철형 자체의 형태며 속성에 착안한 것이기도 하다. 알다시피 양식화와 패턴화 그리고 평면화의 경향은 철형 자체의 형태적 속성이기도 한 것이다. 그러므로 철형으로 나타난 소재적 성질에 작가의 회화적 감수성을 일치시켜 가급적 메시지를 쉽고 명료하게 전달한다는(그러면서도 당연히 유연시절의 기억과 추억을 환기시키는 어떤 정서적 아우라와 함께) 전략이 꾀해지고 있는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
뽑기 모형을 보면 초승달과 별, 비행기와 로켓, 자동차와 긴 칼, 물고기, 하트, 크리스마스트리, 손바닥, 그리고 팔을 벌리고 서 있는 사람 형상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가 다양하다. 이 모형들은 말하자면 어른들이 어린아이였을 시절에 꾼 꿈(어른들의 언어용법으로는 욕망)을 표상한다. 어린아이들의 꿈이며 욕망의 아이콘들인 것이다. 이를테면 아이들은 비행기를 타고 달나라를 여행하고 싶고, 로켓을 쏘아 올려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고 싶다. 달나라에는 분명 누군가가 살고 있다고 믿었고, 지구 밖에는 또 다른 세상이 열릴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그리고 세상은 알록달록한 크리스마스트리처럼 빛나고 아름다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언젠가 이 모든 믿음이 의심스러워졌다. 바로 현실원칙에 부닥친 것이다. 라캉의 논법으로는 상상계가 상징계에 맞닥트려 억압되고 잠수 탄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 그리고 그렇게 좌절된 꿈이며 억압된 욕망이 실재계를 이룬다. 그래서 실재계는 호시탐탐 상징계의 전복과 탈취를 노리고 따라서 현실을 불안하게 만든다. 작가는 일부 그림에서 실제로 이렇게 현실원칙에 부닥쳐 산산조각 난 꿈을 그려놓고 있다. 그리고 그림은 별에는 더 이상 어린왕자 따위는 살고 있지 않아, 그러니 꿈 깨, 라고 어른의 목소리로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어린아이의 꿈이 어른의 용법으로는 욕망이라고 했다. 그림은 이렇듯 꿈이 욕망으로 변질되고 좌절되고 억압된 순간을 그려놓고 있는 것이다.
외형상 작가의 그림은 어린아이들이 꾸는 꿈의 아이콘을 그린 것이다. 엄밀하게는 어른들이 어린아이였을 시절에 꾼 꿈의 아이콘을 그린 것이다. 어린아이의 꿈을 통해 사실은 어른들의 욕망을 슬쩍 보여주고 있는 그림으로 볼 수가 있겠다. 그래서 그림 속 아이콘에는 어른들의 욕망의 아이콘이 겹친다. 한탕주의를 상징하는 슬롯머신이며, 현대인의 욕망을 상징하는 소위 명품 브랜드의 로고가 문양으로 새겨진 것이 그렇다. 어른들의 욕망의 아이콘은 이처럼 특정 소재나 문양의 형태로 그림 속에 들어와 있기도 하고, 각종 문자의 형태로 암시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lotto(로또), money(돈), lottery(제비뽑기, 추첨, 운수, 재수), 그리고 dream(꿈) 같은. 그리고 이순신 장군 동상을 그려 넣어 논의를 약간 복잡하게 끌고 가기도 하는데, 주제며 문제의식의 지평을 동시대성과 연결시키려는 구실이며 계기로 볼 수도 있겠고, 억압된 욕망의 원인을 개인의 층위를 넘어 사회적 연계로까지 확장하려는 기획으로 볼 수도 있겠다. 실제로 많은 경우에 어른들로 하여금 그들의 욕망을 억압시키는 계기는 현실원칙으로부터 오고 사회로부터 유래한다.
이외에도 작가는 아예 거대한 뽑기 모형을 만들고, 그 위에 작은 모형들을 배치하기도 한다. 그래서 뽑기 모형 속에 또 다른 뽑기 모형들이 들어있는, 일종의 이중그림 내지 액자그림의 가능성을 예시해주고, 공간설치작업으로까지 작업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그리고 일일이 철판을 구부려 만든 입체의 철형을 화면에 부착한 것에 기인한 그림자나, 부분적으로 반짝이 필름을 도입해 화면에 변화를 주는 방식을 통해 조형의 영역이며 범주를 확장하고 있는 대목 역시 눈여겨볼 일이다.

작가는 아름다운 유년을 그리고 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그렇게 그려진 유년은 더 이상 아름답지가 않다. 어린아이의 유년이 아닌, 어른들의 유년을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아름답다고 착각할 수는 있다. 그 착각에 빠져 잠시잠깐 현실원칙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있다. 어쩌면 작가의 그림은 바로 이런 착각을 그리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착각도 때론 아름다울 수 있는 법이다. 착각이 아니라면, 그리움이 아니라면, 마술이 아니라면 이 단단한 현실원칙의 벽을 어떻게 돌파할 것이며 깰 수가 있을 것인가. 작가의 그림은 그렇게 현실원칙에 부닥친 사람들에게 작은 위로가 되고 싶다.

이윤정 Lee, yun-jung

1995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과 졸업
2004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조형예술학과
한국화 전공

개인전
인사아트센터전-insa gallery
뉴욕 아트전 (BCS Gallery) -art newyork 2012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incheon women artists' biennale
자인제노 초대전
컬러 엑스포(삼성동 코엑스 대서양홀)
서울 아트전(예술의 전당)
모로갤러리전
외 단체전 다수전시

주소 집) 서울 서초구 방배본동 792-23 피스풀하우스 201호

작업실) 151-802, 서울 관악구 남현동 1069-30


E-mail paint91@korea.com




No comments:

Post a Comment